<구글 애드센스> [샤로수길카페] 한국풍 카페 "커피볶는 여자" // 관악구카페, 서울대입구역카페, 개화기 시대 카페
본문 바로가기

한국이야기/우리동네 카페이야기

[샤로수길카페] 한국풍 카페 "커피볶는 여자" // 관악구카페, 서울대입구역카페, 개화기 시대 카페

반응형

샤로수길 <커피볶는 여자>

고즈넉한 공간에서

여유롭게 커피를 마시며

독서하기 좋은 카페.

 

오늘은 서울대입구역과

낙성대역 사이에 위치한

샤로수길 카페인

'커피볶는 여자'를

소개한다.

 

 



커피볶는 여자

 

영업시간: 낮 12:00 오픈 ~ 오후 11:30 마감

매장 번호: 010-9028-2829

1호점을 로스팅 lab실로 운영 중이며,

본 포스팅은 2호점을 소개한다.

 

커피볶는 여자 메뉴판 - 네이버 출처


커피볶는 여자 2호점 외관

샤로수길을 걷다 보면

딱 중간에 위치해 있다.

 

외관 디자인부터 눈길을

사로잡는다.

 

굳이 지도를 보고 찾지 않아도

여기가 '커피볶는 여자'구나 라는 것을

바로 알 수 있다.

 

한국의 전형적인 빌라 건물에

자리 잡고 있으며 그 주변에는

자칫 지저분해 보일 수 있는

전봇대, mtb자전거, 라바콘들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외관과 창으로 보이는 내부는 

고풍스러운 한국의

개화기 시대 감성이 잘 살아있다.

오히려 저런 현대적인 요소들이

그 감성에 잘 맞아서

전혀 이질적이지 않다는 생각도 든다.

 

카페의 입구
카운터

역시 필자가 기대했던

고즈넉한 분위기 그 자체였다.

 

카페 인테리어와 소품 자체의

퀄리티가 높아

근대화로 넘어가는 그 시대의

분위기가 잘 살아있다.

 

엔틱한 소품들

실제로 사장님께서는 몇 달 동안 심혈을

기울여 이 공간을 빚어내셨다고 한다.

 

심지어 인테리어와 가구도 손수 만드셨다고 하니,

과연 정성이 잘 드러나있는 공간다웠다.

 

시그니쳐 메뉴인 앙버터 모니카와 서리떼

'커볶'의 시그니처 메뉴인 서리테.

서리테는 검은 콩가루 크림이 올라간

한국풍 비엔나커피다.

 

검은 콩가루 크림이 올라가서

굉장히 고소하다.

전혀 촌스러운 맛이 없다.

오히려 고소한 맛과 진한 라떼의 풍미가

잘 어우러진다.

(천천히,, 아껴마셨다 ㅎ.ㅎ)

 

필자는 현재 국제한국학포럼 서포터즈로

활동을 막 시작했는데,

만약 이번 대주제가 한국만의 시그니처 메뉴를

소개하는 것이었다면, 

서리테를 주제로 기획안을 냈을 것이다.

 

앙버터 모니카는 예상했던 맛 그대로 난다.

필자가 생각하는 앙버터 모니카만의

시그니처 포인트는

모니카의 바삭바삭함과

그 얇은 층이 있는 듯 없는 듯하여

팥과 버터, 특히 버터의 진한 우유 향이

잘 느껴졌다.

 

입안에서 신선한 우유 풍미가 느껴질 정도?

맛있다는 얘기다.

보통 카페에서 파는 앙버터 다쿠아즈는

종종 다쿠아즈가 조금 무겁고 부담스러운데

앙버터 모니카는 그 단점을 확실하게 잡아서 그런지

깔끔하다.

 

 

커피볶는 여자 내부 인테리어
목재 인테리어

필자가 좋아하는 목재가구..

그리고 색감도 너무 마음에 든다..

화이트 톤과 목재가구의 조합은

사랑이지.

 

심심해 보일 수 있는 벽에 포인트를 너무 잘 주었다.
가장 인기가 많은 자리!

사진 속 테이블이

'커볶'에서 가장 인기 있는 테이블이다.

인스타 피드나 블로그 글에서 나오는 

메인사진을 보면

전부 저기서 꽃병을 가져다 놓고

사진을 찍는다.

 

그도 그럴 것이 위치도 좋거니와

고려청자 디자인의 조명 스탠드는

이 카페에서 감성이 가장 풍부한

공간을 만들어준다.

 

커피볶는 여자 내부 인테리어

한국의 전통 분위기라 함은 역시

나전칠기를 빼놓고 논할 수 없다.

현 2030대들이 시골에 있는

할머니 댁에 놀러 가면

쉽게 볼 수 있는 나전칠기 가구들.

 

비록 같은 물건은 아니라고 할지라도

나전칠기 자체에는 우리들의

추억이 잘 담겨있다.

 

커피볶는 여자 외관
커피볶는 여자 외관


사실 '한국풍' 감성을 잘 표현한다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다.

 

생각해보면

굉장히 막연하다.

그저 한지 깔고 용비어천가에 나오는

초기 한글 문체 써놓고,

적색 기둥에 초록색 단청 등..

 

이 조합이 잘 어울리려면

정말 고궁스럽게 디자인해야 한다.

조금만 어색해도 바로 촌스러워지는 게

한국풍 디자인의 어려움인 것 같다.

 

그래서인지 

개화기 이전의 너무 전통적인 한국의 감성보다

상대적으로 접근하기 쉬운

개화기 시대와 근대로 이행하는

그 과도기 시대의 감성을

더 선호하는 듯하다.

 

마치 정통 사극보다 

미스터 선샤인에 나오는 

구한말의 분위기에 매료되는 것처럼

 

사실은 그 시기가 우리에게는

굉장히 가슴 아픈 시기임에도 말이다.

이 주제를 다루면 너무 무거워지므로

 

나중에 김멜번의 문화유적답사기를 포스팅할 때

한국사를 자세히 다뤄볼 것이다!

 

 

앙버터모니카와 서리테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이 글이 여러분의 티라미수가 되었길 바랍니다.

반응형